728x90
반응형

Emacs에서 magit을 사용하여 github를 이용하고 있는데 github의 다른 기능들도 사용하고 싶어졌다.

 

특히 이슈를 등록하거나 보는 것을 하고 싶어 찾아보니 magithub라는 것이 있었다.

 

.authinfo.authinfo.gpg를 사용하여 인증을 하는데

 

.authinfo의 경우 평문으로 돼있어 보안을 생각하면 .authinfo.gpg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토큰은 github에서 만들고 .authinfo는 다음과 같이 만들면 된다.

machine api.github.com login YOUR_GITHUB_USERNAME^magithub password YOUR_GITHUB_TOKEN

그리고 이것을 Emacs에서 M-x > epa-encrypt-file.authinfo.gpg를 만들 수 있다.

 

macos에서 명령어가 없는 경우 brew install gpg로 설치하면 된다.

 

또는 이곳에서 운영 체제에 맞게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면 된다.

 

GPG key를 만들어서 github에 등록하는 것은 여기를 참고하면 된다.

 

.authinfo.gpg로 하려는 경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gpg: decryption failed: No secret key

이럴 때는 다음을 .emacsinit.el에 추가한 다음 eval-buffer를 하면 된다.

(setf epa-pinentry-mode 'loopback)

Gihub Enterprise에서 사용하는 것은 Github에서 하는 것과 같다.

 

그리고 각각의 클론한 디렉토리에서 다음을 입력하면 된다.

git config github.host github.enterpise.domain/api/v3

 

참고 문헌

  1. https://mrdias.com/2018/04/01/using-magit-with-github-enterprise.html

  2. https://emacs.stackexchange.com/questions/27841/unable-to-decrypt-gpg-file-using-emacs-but-command-line-gpg-works

반응형
728x90
반응형

최근 들어 동물의 숲을 하고 있는데 조이콘 쏠림 현상이 너무 심해졌었다.

 

가끔은 편할 때도 있었지만(북쪽으로 계속 가야하는 경우) 바위를 삽으로 칠 때

 

갑자기 방향이 바껴서 연속으로 치는 것이 실패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다른 조이콘을 구입하려고 했지만 현재 상황으로는 구할 수가 없어 다른 방법을 찾아봤다.

 

조이콘 쏠림이 있는 스틱 밑에 바람 불어넣기를 해봤지만 아무 소용이 없었다.

 

전에는 되는 것 같아 보였지만 아마 그때는 아직 먼지가 많지 않아서 그랬던 것 같았다.

 

그 다음으로는 조이콘 분해를 해보려고 했지만 드라이버도 없는데다 생각보다 복잡한 구조에 포기했다.

 

마지막 방법으로 BW-100을 사용해보기로 하고 구매를 했다.

 

사진처럼 조이콘 스틱 커버를 들어올린 다음 BW-100을 쏴주면 된다.

 

처음에 몇 번 테스트를 해봤을 땐 쏠림이 없어진 것 같았는데 다시 해보니 이번엔 서쪽으로 쏠림이 있었다.

 

이것도 안되는 건가보다 하고 며칠 사용해보니 쏠림이 없어졌다!

 

조이콘 분해 또는 구입이 어려운 분들은 이걸로 쏠림 현상을 극복해서 즐겜하기를 바란다.

 

 

BW100 접점부활제 225g 450g 2종 컴퓨터세척제 기판세척 접점윤활제 PCB청소

COUPANG

www.coupang.com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서버 장애 대응  (0) 2020.06.18
[Chrome] 크롬 확장 프로그램 웹스토어에 등록하기  (0) 2020.06.11
[Docker] Gnuboard 이미지 만들기  (0) 2020.05.14
[Linux] buff/cache 해제  (0) 2020.05.07
[AdMob] 정책 위반 해결  (0) 2020.01.25
728x90
반응형

간단한 홈페이지를 구축해야할 필요가 있었는데

 

Gnuboard를 Docker 이미지로 만들어서 헤로쿠에 배포하고 싶었다.

 

그래서 기존에 만들어진 것이 있는지 찾아보니 꽤 예전 버전이라 수정이 필요했다.

 

Dockerfile은 다음과 같이 만들었다.

FROM ubuntu:20.04
ARG DEBIAN_FRONTEND=noninteractive

# Run upgrades
RUN echo "deb http://it.archive.ubuntu.com/ubuntu/ focal main universe" > /etc/apt/sources.list
RUN apt-get update

# Install basic packages
RUN apt-get -qq -y install git curl build-essential

# Install Apache2
RUN apt-get -qq -y install apache2
ENV APACHE_RUN_USER www-data
ENV APACHE_RUN_GROUP www-data
ENV APACHE_LOG_DIR /var/log/apache2
RUN a2enmod rewrite
RUN sed -i -e "s/html/gnuboard5/"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ault.conf

# Install php
RUN apt-get -qq -y install php7.4
RUN apt-get -qq -y install libapache2-mod-php7.4 php7.4-mysql php7.4-gd

# Install Mysql
RUN apt-get -qq -y install mysql-server mysql-client libmysqlclient-dev
RUN sed -i -e "s/^bind-address\s*=\s*127.0.0.1/bind-address = 0.0.0.0/" /etc/mysql/my.cnf

# Install Gnuboard5
COPY gnuboard5 /var/www/gnuboard5

EXPOSE 80
ADD boot.sh /boot.sh
RUN chmod +x /boot.sh

CMD ["/bin/bash", "/boot.sh"]

이미지를 띄울 때 사용할 쉘 스크립트는 다음과 같이 작성했다.

#/bin/bash

# start mysql
nohup mysqld_safe --skip-grant-tables > /dev/null 2>&1 &
sleep 10

echo "CREATE USER 'gnuboard'@'localhost' IDENTIFIED BY 'gnub0ard';" | mysql
echo "CREATE DATABASE gnuboard;" | mysql
echo "GRANT ALL PRIVILEGES ON gnuboard.* TO 'gnuboard'@'localhost' WITH GRANT OPTION;" | mysql

# start apache2
sed -i "s/Listen 80/Listen ${PORT:-80}/g" /etc/apache2/ports.conf
sed -i "s/:80/:${PORT:-80}/g" /etc/apache2/sites-available/*
sed -i "s/:80/:${PORT:-80}/g" /etc/apache2/sites-enabled/*
rm -f /etc/apache2/mods-enabled/mpm_event.load
rm -f /etc/apache2/mods-enabled/mpm_event.conf
source /etc/apache2/envvars
/usr/sbin/apache2 -D FOREGROUND &

이렇게 작성해서 헤로쿠에 배포를 했으나 포트 번호가 계속 변경되는 문제로 되는 것만 확인하고 끝났다.

 

참고 문헌

  1. https://github.com/nacyot/docker-gnuboard5-mysql

  2. https://devcenter.heroku.com/articles/container-registry-and-runtime

반응형
728x90
반응형

서버에 메모리가 부족하다는 알람이 발생해서 살펴보니 실제 사용하는 메모리는 적었다.

 

그래서 다른 항목들을 보니 buff/cache에서 할당된 메모리가 80% 정도 사용하고 있었다.

 

구글에서 찾아보니 다음과 같이 하면 바로 해제할 수 있었다.

$ sudo sh -c "echo 1 > /proc/sys/vm/drop_caches"

 

참고 문헌

  1. https://unix.stackexchange.com/questions/58553/how-to-clear-memory-cache-in-linux

반응형

+ Recent posts